Skip to content

ericlee05/Ghostis

main
Switch branches/tags

Name already in use

A tag already exists with the provided branch name. Many Git commands accept both tag and branch names, so creating this branch may cause unexpected behavior. Are you sure you want to create this branch?
Code

Latest commit

 

Git stats

Files

Permalink
Failed to load latest commit information.
Type
Name
Latest commit message
Commit time
 
 
 
 
 
 

👻 Ghostis

2020년 7월 경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중계동에서 발생했던 무선해킹 사건을 유사하게 재현하기 위한 오픈소스 해킹 프로젝트입니다.

🚁 관련 뉴스 및 영상

Video Label

인터넷 끊어놔도 계속되는 해킹...'비밀번호 잠금' 태블릿까지 뚫려 / YTN

Project Headex

직접 개발한 HID 기반의 정보수집 백도어, Headex(헤덱스)의 시연 영상 일부분(나머지 작동영상 및 세부사항은 보안상 생략)

🛸 프로젝트 진행

추정되는 방식

  • 자작극
  • 내부망 해킹
  • OS 조작
    • 겉으로만 인터넷이 끊긴 것으로 표시 가능
    • 백신에 걸리기가 매우 쉬움
  • HID 에뮬레이팅
    • 컴퓨터 자체에서 인터넷이 끊기더라도 Wi-fi와 Bluetooth로 원격 제어 가능
    • 뉴스에서 나왔던 그림판 등을 똑같이 재현할 수 있음
    • 실제 공격에서도 많이 사용되는 방식
    • 백신에 잘 잡히지 않음
    • 실제로 사용된 방식이라면, 메인보드 내부에 심어졌을 가능성이 높음
  • 기타 등등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HID 에뮬레이팅 방식으로 해당 사건을 재현해보기로 함.

여기서의 구현 방법

앞서 언급했듯이, 기존에 직접 개발했던 Headex의 기반인 HID 에뮬레이팅 방식을 이용하기로 함

  • 하드웨어 :
    • Arduino Leonardo 이용(단, 해당 프로젝트에서는 USB로 외부연결)
  • 소프트웨어 :
    • Java 기반의 Payload 이용
      • 화면 보기 등, 소통 구현을 위해 Java의 ROBOT Class 이용
      • 화면 및 데이터 전송
        • PC의 인터넷 이용 : 빠르게 정보 교환 가능
        • 아두이노의 Wi-fi 또는 Bluetooth 이용 : 타겟 디바이스의 통신이 끊겼을 때에도 작동 가능(단, 속도는 느림)
    • 아두이노-타겟 간 데이터 전달은 Serial 통신 이용

시나리오

시나리오 1

  1. 공격자가 PC에 아두이노 설치
  2. 아두이노는 HID 에뮬레이팅으로 PC에 통신용 페이로드 설치
  3. 사용자는 통신용 페이로드를 통해 사용자의 화면을 볼 수 있고, HID 에뮬레이팅을 통해 마우스와 키보드를 조작할 수도 있음
  4. 타겟 PC의 인터넷이 작동할 때에는 데이터 송신(화면 등)은 일반 인터넷으로 연결하고, 이후 타겟 PC의 통신이 멈출 경우에는 아두이노에 내장된 장비로 송신(화면)/수신(원격제어)을 모두 담당함
    • 단, 이 경우에는 화면 실시간 스트리밍이 사실상 불가능하며 명령어를 통해서 한 Frame씩 가져오는 방식만 실질적으로 가능함

🧭 진행상황

  • 2020.10.9 : 개발 시작
  • 2020.10.11 : Headex 시연영상 일부 공개

About

중계동 가정집 해킹사건을 유사하게 재현하기 위한 오픈소스 보고서 및 프로젝트입니다

Topics

Resources

License

Stars

Watchers

Forks

Releases

No releases published

Packages

No packages published